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nestjs
- 리스코프치환원칙
- jest
- TDD
- 인터넷게이트웨이
- 라우팅테이블
- TypeScript
- test code
- axios mock
- forbetterme
- 미라클모닝
- IPv4
- javascript unit test
- docker
- JavaScript
- subnet
- 테스트코드
- 단위테스트
- 서브넷
- mock객체
- 도커
- axios-mock-adaptor
- 의존관계역전원칙
- docker commands
- VPC
- Unit Test
- parameter group
- mock함수
- AWS
- jest.fn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37)
My Dream Being Visualized

※ 개인 공부를 위한 공간입니다. 틀린 부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(_ _) 서브넷이란? [AWS설명] VPC를 생선한 후, 각 가용영역(AZ)에 하나 이상의 서브넷을 둘 수 있다. 서브넷은 VPC내에 IP 주소의 범위이다. (이게 무슨 말이고? 계속 읽어보자) 특정 서브넷 내에 EC2 인스턴스 같은 AWS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데, 서브넷을 만들고 나서 VPC CIDR 블록의 부분(subset)인 IPv4 CIDR 블록을 각 서브넷에 대하여 명시한다. VPC의 CIDR 블록을 10.0.0.0/16 으로 만들었고, 사용가능한 IP는 약 6만5천개였다. 2021.11.07 - [토이프로젝트/Infrastructure] - [ AWS ] VPC 생성하기 그 중, 한 IP를 서브넷에 할당해준다. 각 서..

※ 개인 공부를 위한 공간입니다. 틀린 부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(_ _) 욕심 같아서는, 그림도 그리고 이해하기 쉬운 예시도 들어가며 설명하고 싶지만 미래의 나를 위한 글이기에 최대한 간단히 정리하려고 한다. VPC란? [AWS 설명] VPC는 AWS 계정에 속한 가상 네트워크이다. AWS 클라우드에서 다른 가상 네트워크들과는 격리됨으로서, Amazon EC2 인스턴스와 같은 AWS 객체로 채워집니다. VPC를 생성할 때 IPv4 주소 범위를 지정해야 합니다. IPv4 주소 범위를 CIDR(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) 블록으로 지정합니다 (예: 10.0.0.0/16). /16보다 큰 IPv4 CIDR 블록은 지정할 수 없습니다. 또는 IPv6 CIDR 블록을 VPC에..

※ 개인 공부를 위한 공간입니다. 틀린 부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(_ _) 곧 런칭 준비중인 프로그램을 미리 쓰고 계시는 직장동료가 물었다. "회원가입하면, 제 비밀번호도 알 수 있어요?" 처음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을 만들 때, 당연히 암호화를 해야 된다고 봐왔고 그렇게 했지만, 마음만 먹으면 몰래 저장하고 볼 수 있다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. 평범한 사람이 되거나, 나쁜 사람이 되는 건 한끗 차이인 것 같다. "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SSL 인증서를 타고 https화 되서 서버에서 해쉬 알고리즘을 거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돼요." 라고 말하면 앞으로 아무 질문도 안 할것 같아서 "암호화 되서 뭔지 저도 알 수가 없어요!" 라고 간단하게 말씀드렸다. 다시 한번 회원가입 및 로그인 서비스를 만드는..